모두CBT | 국가고시 실기시험 부시기!
1 공기조화설비 해설 페이지
1번
공기조화의 4요소 / 유효온도 3요소
*기습청온
기류속도
습도
청정도
온도
유효온도 (기습온)
기류속도
습도
온도
2번
실내 적정온도
- 냉방 시
건구온도 26~28C 상대습도 50~60% 정도
- 난방식
건구온도 18~22C 상대습도 35~40% 정도
3번
불쾌지수 (DI) 식
온도와 습도만으로 쾌적도를 나타내는 지표
DI = 0.72(건구온도+습구온도)+40.6
4번
노점온도란 ?
공기를 냉각시 습공기 중에 함유된 수증기가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이슬이 맺히는 온도
5번
습공기의 엔탈피
h = 건공기 엔탈피 (현열) + 수증기 엔탈피(현열+잠열)
6번
조닝 시 고려사항
*용사부실
용도별 (실의 사용목적)
사용 시간별
부하 특성별
실의 방위별
실내 온습도 조건
7번
전공기 방식 특징 / 장단점
공조기에서 공급된 냉,온풍을 덕트를 통해 실내로 취출
장점
1. 송풍량이 많아 실내 공기 오염이 적다
2. 중간기(봄,가을)에 외기냉방 가능
3. 바닥 이용도 좋다
4. 수배관이 없어 누수 x
단점
1. 덕트 스페이스가 크다
2. 냉,온풍의 운반 소요 동력이 큼
3. 공조실 면적이 큼
4. 개별제어가 어려움
8번
전수방식 특징 / 장단점
중앙기계실에서 냉온수 공급 > 실내부하를 물에 의해 처리
장점
1. 덕트스페이스 필요 x
2. 열운반 동력 적다
3. 각 실 제어 용이
4. 증설이 용이
단점
1. 신선한 외기도입 어렵고, 고성능 필터 사용 불가
2. 실내 쾌감도가 떨어짐
3. 수배관에 의한 누수 우려 존재
4. 유닛의 소음발생 및 바닥이용도가 떨어짐
9번
공기-수 방식 특징/ 장단점
중앙기계실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물에 실내부하를 처리
장점
1. 덕트 설치공간 감소
2. 송풍동력 감소
3. 개별제어 가능
4. 존의 구성이 용이
단점
1. 실내공기의 오염우려
2. 보수 및 유지관리 어려움
3. 유닛에서 소음 발생 및 바닥 이용도 떨어짐
4. 수배관에서 누수 우려
10번
틈새바람 (극간풍) 줄이는 방법
1. 출입구 회전문 설치
2. 2중문 설치 (내측문 수동)
3. 2중문의 중간에 컨벡터 설치
4. 에어커텐 설치
11번
공기조화기 구성(배치) 순서
*공냉온가
가공기 여과기 > 냉수코일 > 온수코일 > 가습기
12번
코일 배열 방식의 종류
- 더블서킷
유량이 많아 코일 내 유속이 너무 클 때 사용
- 풀 서킷, 하프 서킷 코일
유랑이 적어 코일 내 유속이 너무 작을 때 사용
13번
냉온수 코일의 설계
1. 코일 내 유속 1m/s
2. 코일 통과 풍속 2~3m/s
3. 공기와 물의 흐름을 대향류로 한다
4. 냉수의 입출구 온도차 섭씨 5도 전후로 한다
5. 물과 공기의 대수평균온도차를 크게 함
6. 코일의 설치는 수평으로
14번
가열코일 종류와 설계기준
온수,증기,전열,냉매(응축기)
1. 온수코일의 통과풍속은 2~3.5m/s
2. 유량 및 온도제어는 2way 밸브나 3way 밸브
15번
증기코일 설계기준
1. 열수가 적으므로 코일 통과풍속은 3~5m/s
2. 사용 증기압력 0.1~0.2kg/cm2
3. 증기트랩의 용량 = 피스 키 응축수량의 3배 이상
4. 응축수 배출을 위한 배관은 1/50 ~ 1/100의 순구배
16번
가열코일의 동절기 동파방지 방법
1. 온수코일은 야간 운전정지 중 순환펌프를 운전
2. 운전 중에 전열교환기 사용 > 외기를 예열하여 도입
3. 외기와 환기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한다
4. 증기코일의 경우 0.5kg/cm2 이상의 증기 사용 x
5. 코일 내 응측수 고이지 않도록 한다.
17번
가습방식의 종류
수분무식 : 원심식 , 초음파식 , 분무식
증발식 : 회전식 , 모세관식 , 적하식
증기식 : 증기 발생식 , 증기 공급식
18번
송풍기의 번호 (no)
다익형 = 임펠러 지름(mm) / 150
축류형 = 임펠러 지름(mm) / 100
19번
송풍기의 상사법칙
풍량 : 회전수에 비례 , 임펠러 지름 3승에 비례
풍압 : 회전수 2승에 비례 , 임펠러 지름 2승에 비례
동력 : 회전수 3승에 비례 , 임펠러 지름 5승에 비례
20번
송풍기의 제어 방법
1. 모터 회전수 제어
2. 가변 피치 제어 (날개각도)
3. 흡입 베인 조절
4. 스크롤 댐퍼 제어
5. 흡입, 토출댐퍼 개도조절
21번
송풍기 풍량제어에 따른 동력 소요 순서
회전수제어 (동력 소비 가장 적음) < 가변피치제어 < 베인제어 < 스크롤댐퍼 < 흡입댐퍼 < 토출댐퍼제어
22번
펌프의 상사법칙은?
회전수(속도)비에 유량 정비례
양정은 2제곱에 비례
축동력 3제곱에 비례
23번
공동현상 (캐비테이션) 방지대책
1. 흡입측 손실수두 작게
2. 펌프 설치위치를 낮춘다
3. 펌프의 회전수를 낮춘다
4. 양흡입 펌프를 사용
5. 흡입관경 크게
6. 배관 짧게
24번
콜드 드레프트의 원인
1. 인체 주위의 공기온도가 너무 낮을 때
2. 기류 속도가 너무 빠를 때
3. 습도가 낮을 때
4. 벽면의 온도가 너무 낮을 때
5. 극간풍이 많을 때
25번
환기의 목적
1. 실내공기 정화
2. 열 및 수증기(습기) 제거
3. 냄새 및 유독가스 제거
4. 연소용 공기 공급 (보일러 실)
26번
기계(강제)환기 종류
- 제 1종 환기
급기팬 + 배기팬 사용
보일러실 , 대규모 변전실, 병원 수술실
- 제 2종 환기
급기팬만 사용
실내 정압 (+) 상태 , 반도체 공장의 무균실 , 소규모 변전실,창고
- 제 3종 환기
배기팬만 사용
실내를 부압 (-) 으로 유지, 악취나 유독가스 번지는 것 방지
주방, 흡연실, 화장실, 조리장, 차고 등
27번
보일러의 3대 요소
보일러 본체
연소장치
부속장치
28번
보일러 부속 장치
- 인젝터 : 증기 이용하여 급수
- 축열기 : 잉여증기 저장 후 보일러 과부하 시 공급
- 환원기 : 응축수를 보일러로 자연 회수
- 절탄기 : 배기가스 폐열을 이용 보일러의 급수 예열
- 폐열회수장치
- 방출밸브(릴리프밸브)
- 증기트랩 : 증기 중에서 발생한 응축수 배출 > 수격작용 및 배관 부식 방지
29번
보일러 종류별 특징
1. 노통 보일러
- 본체 내부에 노통 설치하여 물을 가열
2. 연관 보일러
- 본체 내부에 연관을 통해 연소가스 통과하여 물을 가열
3. 노통 연관 보일러
- 노통 + 연관 보일러의 장점을 취한 것으로 중대형 건물에 사용
4. 수관 보일러
- 상하부의 드럼에 고압에 잘 견디는 다수의 수관을 연결
고압 대용량으로 자연 순환식, 강제순환식이 있음
5. 관류 보일러
- 초임계 압력하에서 증기 얻을 수 있음
6. 주철제 보일러
- 최고 사용압력이 1kg/cm2 이하로 저압용으로 내식성 우수
30번
수관보일러의 특징
- 보유수량에 비해 전열면적이 커 증기 발생이 빠르다
- 고온,고압의 증기를 발생
- 효율이 가장 우수하며 대용량
- 부하변동에 따른 추종성 높음
- 예열시간이 짧고, 효율이 좋다
- 초기투자비가 크벼 증발이 빨라 급수처리 철저히 해야함
- 구조가 복잡하여 내부 청소가 어려움
31번
보일러 출력
정격출력 = 난방부하+급탕부하+배관부하+예열부하
상용출력= 난방부하+급탕부하+배관부하(정미출력x1.05~1.1)
정미출력 = 난방부하+ 급탕부하
32번
난방설비의 구분 (중앙,개별)
- 중앙난방
1. 직접난방 : 증기난방,온수난방,복사난방
2. 간접난방 : 온풍난방,공기조화
3. 지역난방 :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적합
- 개별난방
각 실마다 전기 스토브나 난로, 히터 등을 설치하여 난방
33번
증기난방의 특징
(증기의 잠열을 이용)
장점
1. 보유열량이 커 열운반 능력이 좋다
2. 예열시간 짧고 , 신속한 난방이 가능
3. 방열기 면적 작게 가능하고 관경이 작아도 됨
단점
1. 실내 상하온도차가 커 쾌감도가 떨어짐
2.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3. 한랭 시 동결의 우려가 있다
4. 시공성 및 제어성이 떨어진다.
34번
온수난방의 특징
(온수의 현열을 이용)
장점
1. 온도 조절이 용이
2. 쾌감도가 좋다
3. 열용량이 커 동결우려 적다
4.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
단점
1. 열용량이 커 예열시간이 길다
2. 수두에 제한을 받는다
3. 방열면적과 관지름이 크다
4. 설비비가 비싸다
35번
복사난방의 특징
- 실내의 천장, 바닥, 벽 등에 가열 코일을 묻어 코일 내에 온수를 공급하여 복사열에 의해 난방하는 방식
장점
1. 상하 온도차가 적고 온도분포가 균등
2. 인체에 대한 쾌감도가 좋다
3. 천장이 높은 실의 난방효과가 있다
4. 바닥 이용도 좋음
5. 실내온도가 낮아도 난방효과가 있으며 손실열량 적다
단점
1. 외기온도 변화에 따른 방열량 조절이 어렵다
2. 매립배관으로 보수, 점검이 어렵다
3. 방수층 및 단열층 시공으로 시설비가 비싸다
36번
온풍난방의 특징
- 가열한 온풍을 덕트를 통해 실내에 공급
장점
1. 열량이 적어 예열시간 짧다
2. 즉시 난방 가능
3. 신선한 외기도입으로 환기 가능
4. 설치가 간단
단점
1. 실내 상하 온도초가 커 쾌적성이 떨어짐
2. 소음이 발생함
37번
지역난방의 특징
1. 대규모 열원기기를 이용 > 열효율 높아 연료비 절감되고 관리가 용이하다
2. 설비의 고도화로 대기 오염물질이 감소
3. 개별의 보일러실이 불필요하여 건물 이용의 효용이 높다
4. 화재에 대한 우려가 적다
38번
방열기 설치 기준
벽에서 50~60mm
바닥에서 150mm 거리 유지하여 창 밑에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