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CBT | 국가고시 실기시험 부시기!
1과목(산업재해 예방 및 안전보건교육) 1 ~ 100 해설 페이지
1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용어의 정의가 잘못 설명된 것은?
“근로자대표”란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을,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의 과반수를 대표하는 자를 말한다.
2번
☆
다음 중 잠재적인 손실이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상태나 조건을 무엇이라 하는가?
“위험(Danger)”이라 함은 잠재적 손실이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상태나 조건을 말한다.
3번
☆
안전관리의 중요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작업환경 개선을 통한 투자 비용 절감
4번
☆
다음 중 안전보건관리책임자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②: 안전관리자 직무
5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개선 계획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안전보건개선계획서에는 시설, 안전보건관리체제, 안전보건교육, 산업재해 예방 및 작업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6번
☆
다음 중 안전보건교육 계획수립에 반드시 포함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안전보건교육 계획 시 포함사항
대상/종류/과목/내용/기간/장소/방법/강사
7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종합적인 개선조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시행을 명할 수 있는 대상 사업장이 아닌 것은?
1.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
2.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4. 유해인자의 노출기준을 초과한 사업장
8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중대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중대재해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2.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3.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9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ㆍ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을 수립ㆍ제출하도록 명할 수 있는 사업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안전보건진단을 받아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 및 명령을 할 수 있는 대상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 평균 산업재해율의 2배 이상인 사업장
∙사업주가 필요한 안전조치 또는 보건조치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직업성 질병자가 연간 2명 이상(상시근로자 1천명 이상 사업장의 경우 3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
∙그 밖에 작업환경 불량, 화재ㆍ폭발 또는 누출 사고 등으로 사업장 주변까지 피해가 확산된 사업장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업장
10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관리감독자의 업무의 내용이 아닌 것은?
④: 보건관리자 업무
11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할 업무가 아닌 것은?
(단, 그밖에 안전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하는 사항은 제외한다.)
②: 보건관리자 업무
12번
☆
다음 중 일반적인 안전관리 조직의 기본 유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안전관리 조직 종류
라인형(직계형), 스태프형(참모형), 라인-스태프형(직계-참모형)
13번
☆
안전관리에 관한 계획에서 실시에 이르기까지 모든 권한이 포괄적이며 하향적으로 행사되며, 전문 안전담당 부서가 없는 안전관리조직은?
직계식(라인형) 조직에 대한 설명이다.
14번
☆
안전보건관리조직의 형태 중 라인형 조직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③: 라인-스태프형 조직
15번
☆
안전관리 조직의 형태 중 참모식(Staff)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6번
☆☆
안전관리조직의 형태 중 라인스탭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③: 라인형 조직
17번
☆☆
안전관리 조직 중 대규모 사업장에서 가장 이상적인 조직 형태는?
18번
☆
다음 중 1,000명 이상의 대형사업장에 적합하며, 라인의 관리감독자에게도 안전에 관한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는 안전관리의 조직은?
19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보건교육의 교육과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안전보건교육 종류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정기교육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특별교육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2.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교육
-정기교육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특별교육
3.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
4.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최초 노무제공 시 교육
-특별교육
5. 검사원 성능검사 교육
20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의 교육과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안전보건교육 종류
1.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정기교육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특별교육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
2. 관리감독자 안전보건교육
-정기교육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특별교육
3.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에 대한 교육
4.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최초 노무제공 시 교육
-특별교육
5. 검사원 성능검사 교육
21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대상과 교육시간으로 옳은 것은?
②: 연간 16시간 이상
22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일용근로자의 안전·보건교육 과정별 교육시간 기준으로 틀린 것은?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1시간 이상
23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기준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24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내 안전보건교육에 있어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에 해당하는 것은?
①: 근로자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내용
②: 근로자, 관리감독자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내용
④: 근로자, 관리감독자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내용
25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관리감독자 정기안전·보건교육의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단, 기타 산업안전보건법 및 일반관리에 관한 사항은 제외한다.)
26번
☆
벨트식, 안전그네식 안전대의 사용 구분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7번
☆
다음 중 안전대의 각 부품(용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버클: 벨트 또는 안전그네를 신체에 착용하기 위해 그 끝에 부착한 금속장치
28번
☆
안전대에 관한 용어 중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안전그네와 연결하여 추락발생시 추락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잠김장치가 갖추어져 있고 죔줄이 자동적으로 수축되는 장치
"안전블록"이란 안전그네와 연결하여 추락발생시 추락을 억제할 수 있는 자동잠김장치가 갖추어져 있고 죔줄이 자동적으로 수축되는 장치를 말한다.
29번
☆
다음 중 안전대의 죔줄(로프)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①: 내마모성이 클 때
30번
☆
다음 중 재해조사에 있어 재해의 발생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1번
☆
재해발생 형태별 분류 중 물건이 주체가 되어 사람이 상해를 입는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32번
☆
다음 중 사람이 인력(중력)에 의하여 건축물, 구조물, 가설물, 수목, 사다리 등의 높은 장소에서 떨어지는 재해의 발생 형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33번
☆
다음 중 기계적 위험에서 위험의 종류와 사고의 형태를 올바르게 연결한 것은?
34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모의 종류(기호) 중 사용 구분에서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 및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고, 머리부위 감전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옳은 것은?
35번
☆
안전모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안전모 종류는 안전모 기호로 구분한다.
②: 안전모 종류는 안전모 성능으로 구분한다.
③: A형은 법령상에 없다.
36번
☆
추락 및 감전 위험방지용 안전모의 일반구조가 아닌 것은?
안전모의 일반구조
모체/착장체(머리받침끈/머리고정대/머리받침고리)/충격흡수재/턱끈/챙
37번
☆
보호구 관련 규정에 따른 안전모의 착장체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착장체: 머리받침끈/머리고정대/머리받침고리
38번
☆
보호구의 안전인증기준에 있어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부품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머리받침끈, 머리고정대 및 머리받침고리로 구성되어 추락 및 감전 위험방지용 안전모(이하 "안전모”라 한다) 머리부위에
고정시켜주며, 안전모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착용자의 머리부위에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기능을 갖는 부품
39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
안전모 시험 항목
턱끈풀림/내관통성/충격흡수성/내전압성/내수성/난연성
40번
☆
추락 및 감전 위험방지용 안전모의 난연성 시험 성능기준 중 모체가 불꽃을 내며 최소 몇 초 이상 연소되지 않아야 하는가?
난연성시험
모체가 불꽃을 내며 5초 이상 연소되지 않아
야 한다.
41번
☆
안전모의 일반구조에 있어 안전모를 머리모형에 장착하였을 때 모체내면의 최고점과 머리모형 최고점과의 수직거리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안전모의 내부수직거리는 25mm 이상 50mm 미만일 것
42번
☆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안전모의 일반 구조 중 턱끈의 최소 폭 기준은?
턱끈의 폭은 10mm 이상일 것
43번
☆☆
보호구 안전인증 고시에 따른 안전화의 정의 중 알맞은 것은?
경작업용 안전화란 ㉠mm의 낙하높이에서 시험했을 때 충격과 ㉡±0.1kN의 압축하중에서 시험했을 때 압박에 대해 보호해줄 수 있는 선심을 부착해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화를 말한다.
"경작업용 안전화"란 250밀리미터의 낙하높이에서 시험했을 때 충격과 (4.4±0.1)킬로뉴턴(kN)의 압축하중에서 시험했을 때 압박에 대하여 보호해 줄 수 있는 선심을 부착하여,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화를 말한다.
44번
☆
다음은 안전화의 정의에 관한 설명이다. A와 B에 해당하는 값으로 옳은 것은?
중작업용 안전화"란 Amm의 낙하높이에서 시험했을 때 충격과 (B±0.1)킬로뉴턴(KN)의 압축하중에서 시험했을 때 압박에 대하여 보호해 줄 수 있는 선심을 부착하여,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화를 말한다.
"중작업용 안전화"란 1,000밀리미터의 낙하높이에서 시험했을 때 충격과 (15.0±0.1)킬로뉴턴(kN)의 압축하중에서 시험했을 때 압박에 대하여 보호해 줄 수 있는 선심을 부착하여,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화를 말한다.
45번
☆☆☆
보호구자율안전확인고시상 사용구분에 따른 보안경의 종류가 아닌 것은?
보안경의 종류
유리보안경/플라스틱보안경/도수렌즈보안경
46번
☆
내전압용절연장갑의 성능기준상 최대사용 전압에 따른 절연장갑의 구분 중 00등급의 색상으로 옳은 것은?
47번
☆
다음 중 탱크 내부에서의 세정업무 및 도장업무와 같이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장소에서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보호구로 옳은 것은?
산소결핍이 우려되는 장소에는 송기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48번
☆
다음 중 방진마스크 선택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흡기저항 상승률이 낮아야 한다.
49번
☆
다음 중 그림에 나타난 보호구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50번
☆
다음 중 보호구 안전인증기준에 있어 방독마스크에 관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파과곡선"이란 파과시간과 유해물질 등에 대한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을 말한다.
51번
☆
방독마스크의 흡수관의 종류와 사용조건이 옳게 연결된 것은?
유기가스용, 보통가스용-활성탄
일산화탄소용-호프카라이프
암모니아용-큐프라마이트
52번
☆☆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색상으로 틀린 것은?
53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중 “방독마스크 착용”은 무슨 표지에 해당하는가?
방독마스크 착용은 지시표지이다.
54번
☆
공장 내에 안전보건표지를 부착하는 주된 이유는?
안전이 제일 중요하다,
55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야간에 필요한 안전보건표지는 야광물질을 사용하는 등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
56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른 안전 보건 표지에 사용하는 색채기준 중 비상구 및 피난소, 사람 또는 차량의 통행표지의 안내 용도로 사용하는 색채는?
안내표지는 바탕은 흰색, 기본모형 및 관련 부호는 녹색이거나 바탕은 녹색, 관련 부호 및 그림은 흰색이다.
57번
☆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및 색도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58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색도기준 및 용도 중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59번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안전・보건표지에 사용된 색채의 색도기준이 “7.5R 4/14"일 때 이 색채의 명도 값으로 옳은 것은?
7.5R: 색상, 4: 명도, 14: 채도
60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용도 및 사용 장소에 대한 표지의 분류가 가장 올바른 것은?
①: 경고표지(폭발성물질 경고)
②: 안내표지(좌측비상구)
③: 지시표지(보안경착용)
④: 금지표지(물체이동금지)
61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 중 안내표지사항의 기본모형은?
62번
☆
안전·보건표지의 기본모형 중 다음 그림의 기본모형의 표시사항으로 옳은 것은?
63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형태 중 그림과 같은 경고 표지는?
(단, 바탕은 무색, 기본모형은 빨간색, 그림은 검은색이다.)
64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시의 종류 중 인화성물질에 관한 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인화성물질 경고는 경고표지이다.
65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에 있어 “안전모 착용”은 어떤 표지에 해당하는가?
안전모 착용은 지시표지이다.
66번
☆☆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에 있어 경고 표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경고표지 종류
1. 인화성물질 경고 2. 산화성물질 경고
3. 폭발성물질 경고 4. 급성독성물질 경고
5. 부식성물질 경고 6. 방사성물질 경고
7. 고압전기 경고 8. 매달린 물체 경고
9. 낙하물 경고 10. 고온 경고
11. 저온 경고 12. 몸균형 상실 경고
13. 레이저광선 경고 14. 위험장소 경고
15. 발암성∙변이원성∙생식독성∙전신독성
∙호흡기과민성물질 경고
67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중 안내표지에 해당하는 것은?
안내표지 종류
1. 녹십자표지 2. 응급구호표지
3. 들것 4. 세안장치
5. 비상용기구 6. 비상구
7. 좌측비상구 8. 우측비상구
68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 중 안내표지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안내표지 종류
1. 녹십자표지 2. 응급구호표지
3. 들것 4. 세안장치
5. 비상용기구 6. 비상구
7. 좌측비상구 8. 우측비상구
69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중 지시표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지시표지 종류
1. 보안경착용 2. 방독마스크착용
3. 방진마스크착용 4. 보안면착용
5. 안전모착용 6. 귀마개착용
7. 안전화착용 8. 안전장갑착용
9. 안전복착용
70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에 따라 작업장 내에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의 종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위험장소(경고)-바탕은 노란색, 기본모형, 관련 부호 및 그림은 검은색
③: 녹십자(안내)-바탕은 흰색, 기본모형 및 관련 부호는 녹색,바탕은 녹색, 관련 부호 및 그림은 흰색
④: 안전모 착용(지시)-바탕은 파란색, 관련 그림은 흰색
71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 중 ‘산화성물질 경고’의 색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산화성물질경고: 바탕은 무색, 기본모형은 빨간색
72번
☆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안전보건표지의 색채 중 문자 및 빨간색 또는 노란색에 대한 보조색의 용도로 사용되는 색채는?
문자 및 빨간색 또는 노란색에 대한 보조색의 용도로 검은색이 사용된다.
73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바탕은 흰색, 기본모형은 빨간색, 관련 부호 및 그림은 검은색을 사용하는 안전보건표지는?
금지표지에 대한 설명이다.
74번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 표지에서 기본모형의 색상이 빨강이 아닌 것은?
고온 경고는 기본모형이 검은색이다.
75번
☆☆☆☆☆☆
레빈(Lewin)은 인간행동과 인간의 조건 및 환경조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였다. 이 때 'f'의 의미는?
B=f(P∙E)
76번
☆
레빈(Lewin)의 법칙 B=f(P⋅E)에서 인간 행동(B)은 개체(P)와 환경조건(E)과의 상호 함수관계를 갖는다. 다음 중 환경조건(E)이 나타내는 것은?
77번
☆
인간의 행동은 사람의 개성과 환경에 영향을 받는데 다음 중 환경적 요인이 아닌 것은?
78번
☆☆
일반적으로 사업장에서 안전관리조직을 구성할 때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독특한 조직을 만들 필요는 없다.
79번
☆
개인 카운슬링(Counseling)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개인 카운슬링(Counseling)방법
직접적 충고/설득적 방법/설명적 방법
80번
☆
인간의 행동특성 중 주의(attention)의 일점집중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일점집중현상 대책으로 위험예지훈련이 있다
일점집중현상: 돌발상황 발생 시 주의가 일점에 집중되어 판단이 흐려지는 현상
81번
☆
억측판단의 배경이 아닌 것은?
억측판단 발생 배경
1. 정보가 불확실할 때
2. 희망적인 관측이 있을 때(경보기가 울려도 기차가 오기까지 아직 시간이 있다고 판단하여 건널목을 건너다가 사고를 당했다.)
3. 과거에 성공한 경험이 있을 때
4. 초조할 때
82번
☆☆☆☆☆☆
인지과정 착오의 요인이 아닌 것은?
인지과정 착오 요인
1. 정서 불안정
2. 정보량 한계
3. 감각차단현상
4. 생리∙심리적 능력 한계
83번
☆
다음 중 생체리듬(Biorhythm)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84번
☆
다음 중 인간의식의 레벨(level)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4시간의 생리적 리듬의 계곡에서 tension level은 낮에는 높고 밤에는 낮다.
85번
☆☆
주의의 특성으로 볼 수 없는 것은?
86번
☆☆☆
주의(Attention)의 특징 중 여러 종류의 자극을 자각할 때, 소수의 특정한 것에 한하여 주의가 집중되는 것은?
87번
☆
다음 중 주의(attenti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도의 주의는 장시간 지속하기 어렵다.
②: 주의가 집중이 되면 주의의 영역은 좁아진다.
③: 한 지점에 주의를 집중하면 다른 곳에의 주의는 약해진다.
88번
☆
군화의 법칙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다음 중 폐합의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89번
☆
주의의 수준에서 중간 수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90번
☆
의식수준 5단계 중 의식수준의 저하로 인한 피로와 단조로움의 생리적 상태가 일어나는 단계는?
91번
☆
의식수준 5단계 중 의식수준이 가장 적극적인 상태이며 신뢰성이 가장 높은 상태로 주의집중이 가장 활성화되는 단계는?
92번
☆
다음의 사고발생 기초원인 중 심리적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①/②/③: 생리적
93번
☆☆☆☆
상황성 누발자의 재해유발원인과 거리가 먼 것은?
상황성 누발자
1. 작업에 어려움이 많은 자
2. 기계 설비의 결함이 있을 때
3. 심신에 근심이 있는 자
4. 환경상 주의력 집중이 혼란되기 쉬울 때
94번
☆
부주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부주의는 간접원인이다.
95번
☆☆
다음 중 사고의 위험이 불안전한 행위 외에 불안전한 상태에서도 적용된다는 것과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부주의에 대한 설명이다.
96번
☆
의식의 상태에서 작업 중 걱정, 고민, 욕구불만 등에 의하여 정신을 빼앗기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97번
☆
다음 중 부주의 현상을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의식의 우회를 나타낸 것은?
①: 의식의 저하
②: 의식의 혼란
③: 의식의 중단
98번
☆
다음 중 부주의의 발생원인과 그 대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99번
☆☆
부주의 현상 중 의식의 우회에 대한 예방대책으로 옳은 것은?
100번
☆
인간의 실수 및 과오요인과 직접적인 관계가 가장 먼 것은?
①: 간접 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