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CBT | 국가고시 실기시험 부시기!
2020년 3회1부 해설 페이지
1번
1. 화면 상의 연삭 작업 중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5점)
[동영상]
작업자가 면장갑을 착용하고 마스크, 보안경은 미착용 상태로 휴대용 그라인더로 연마 작업 중이다.
휴대용 연삭기에는 덮개가 없으며, 연삭기 측면으로도 작업한다.
가공물을 작업대 위에서 그라인딩하는데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쓰러지고, 그걸 다시 일으켜 세워서 계속 연마한다.
막판엔 작업자가 휴대용연삭기를 뒤집어놓고 면장갑을 벗으며 눈을 비빈다.
① 휴대용 연삭기에 덮개 없음 (①항)
② 연삭기 측면 사용 (⑤항)
③ (바이스 등으로) 재료를 미고정
④ 보안경 미착용
⑤ 방진마스크 미착용
2번
2. 화면의 전주 변압기가 활선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3가지를 쓰시오. (6점)
① 검전기 (Voltage Detector)
② 활선경보기 = 활선접근경보기 (몸에 차는 것)
③ 테스터기 (멀티테스터기 = 멀티미터)
④ 단로기
3번
3. 「산업안전보건법령」상, 금속의 용접ㆍ용단 또는 가열에 사용되는 가스등의 용기를 설치ㆍ저장 또는 방치하면 안 되는 곳 2가지를 쓰시오. (4점)
가. 통풍이나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
나. 화기를 사용하는 장소 및 그 부근
다. 위험물 또는 인화성 액체를 취급하는 장소 및 그 부근
4번
4. 「산업안전보건법령」상, 동영상의 작업을 하는 경우, 사업주는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그 계획에 따라 작업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그 작업계획서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2가지 쓰시오. (단, 그 밖에 안전ㆍ보건에 관련된 사항은 제외)
[동영상] 가위 기계로 아파트를 으스러트리는 해체 작업
신호수가 압쇄기 근처에서 신호 보내고 있는데, 그 신호수가 떨어진 해체물에 맞는다.
① 해체의 방법 및 해체 순서 도면
② 가설설비ㆍ방호설비ㆍ환기설비 및 살수ㆍ방화설비 등의 방법
③ 사업장내 연락방법
④ 해체물의 처분계획
⑤ 해체작업용 기계ㆍ기구 등의 작업계획서
⑥ 해체작업용 화약류 등의 사용계획서
5번
5. 화면 상의 감전 사고의 원인 2가지를 쓰시오. (4점)
[동영상]
작업자가 장갑을 끼지 않은 맨손으로 퓨즈 교체 작업 중 감전
① 전원을 차단하지 않음.
② 절연용보호구 (내전압용 절연장갑 등) 미착용 = 맨손으로 작업
6번
6. 해당 그림에 맞는 장치 이름을 쓰시오. (6점)
[동영상]
건설용 리프트 방호장치
A. 과부하방지장치 (운반구 하부)
B. 완충 스프링 (땅바닥 스프링)
C. 비상정지장치 (빨간색 누름 버튼)
D. 출입문 연동장치 (운반구에 설치됨)
E. 방호울 출입문 연동장치 (방호울에 설치됨)
F. 3상 전원차단장치 (한글로 극한스위치 2개와 오른쪽 레버)
7번
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작업 시 작업자가 착용해야 할 보호구 1가지와 위험요인 2가지를 쓰시오. (6점)
[동영상] 상세 정보 미확인
방진마스크를 쓰고 보안경을 쓴 작업자가 일반장갑을 끼고 금속에 뿌리는 작업 중
작업자 뒤 환기장치의 전원은 꺼져 있다.
보호구
① 불침투성 보호복
② 불침투성 보호장갑
③ 불침투성 보호장화
④ 보안경
+
⑤ 송기마스크나 방독마스크
위험요인 2가지
- 불침투성 보호장갑 미착용
- 환기장치의 가동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 (동영상에 따라 달라짐)
8번
8. 배관 용접 작업 중 감전되기 쉬운 장비의 위치를 4가지 쓰시오. (4점)
[동영상]
작업자가 용접용 보안면을 착용한 상태로 배관에 용접 작업을 하고 있으며 배관은 작업자의 가슴부분에 위치에 있고 용접장치 조작 스위치는 복부 정도에 위치해 있음.
① 용접기 케이스 ( = 용접기)
② 용접봉 케이블 (= Electrode Lead)
③ 용접봉 홀더 (= 용접기 홀더 = Electrode Holder)
④ 용접봉 (Electrode)
⑤ 접지 케이블 ( = Work Lead)
9번
9. 산업안전보건법령상,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기상상태를 3가지 쓰시오. (6점)
[동영상]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들이 부실한 발판에서 교량 하부를 점검하고 있다.
로프 두 줄로 된 난간만 설치되어 있고, 추락방호망은 없다.
작업자가 로프 난간에 기대다가, 로프가 느슨해지며 떨어진다.
① 풍속이 초당 10 m 이상
② 강우량이 시간당 1 mm 이상
③ 강설량이 시간당 1 cm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