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CBT | 국가고시 실기시험 부시기!
산업안전산업기사 작업형 2022년 2회 1부 해설 페이지
1번
1. 화면상의 "작업방법의 문제점"을 3가지 쓰시오. (6점)
[동영상]
30도 정도 경사진 컨베이어 벨트가 작동하고, 작업자는 작동 중인 컨베이어 위에 1명과 아래쪽 작업장 바닥에 1명이 있으며, 기계 오른쪽에 있는 갈색 종이 포대를 컨베이어 벨트 위로 올리는 작업을 하고 있다.
화면 오른쪽에 포대가 많이 쌓여 있고, 작업자 한 명은 경사진 컨베이어 위에 회전하는 벨트 양끝부분 철로 된 모서리에 양 발을 벌리고 서 있으며, 밑에 작업자가 포대를 일정한 방향이 아닌 불규칙하게 포대를 컨베이어에 올리는 중 컨베이어 위에 양 발을 벌리고 있는 작업자 발에 포대 끝부분이 부딪쳐 무게 중심을 잃고 뒹굴 한바퀴 구르면서 기계 오른쪽에 포대가 쌓인 곳에 쓰러진 후 팔이 풀리 하단으로 들어간다.
아래쪽 작업자는 (누르라는 비상정치장치는 누르지 않고) 떨어지는 작업자를 부둥켜 안고 있다.
작업자 둘 다 캡모자를 쓰고 있다.
① 불안전한 작업발판에서 작업 = 안전한 작업발판 미사용
② 위험구역에서 작업
③ 비상정지상황 발생 시 (밑에 있는) 작업자가 비상정지장치를 작동하지 않음.
2번
2. 화면 상의 작업에서 재해발생원인을 2가지만 쓰시오. (4점)
[동영상]
김치공장에서 무채를 썰어내는 기계(슬라이스 기계)에 무를 넣으며 써는 작업 중 기계가 갑자기 멈추자, 고무장갑을 착용한 작업자가 앞에 기계 뚜껑를 열고 무채를 털어 내는데, 무채 기계의 회전식 기계 칼날 회전을 시작하면서 재해가 발생
① 점검 작업을 할 때, 기계의 운전을 정지하지 않음.
② 덮개ㆍ울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음.
3번
3. 화면 상의 작업에서 위험요인 1가지와 방지대책 1가지를 쓰시오. (4점)
[동영상] 쟁반 제작 프레스 작업
수광부 발광부 2개가 프레스 입구를 통해서 보인다.
작업자가 페달로 작동시키는 프레스기로 철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 중, 수광부 발광부 초록색 센서를 옆으로 젖혀 돌려버리고 2회 더 작업.
프레스 금형 사이에 손을 넣어 청소를 하며 슥슥 털다가 발로 덮개가 없는 페달을 밟고, 프레스가 가동되어 손이 끼어 쓰러짐.
마지막에 페달에 클로즈업
① (광전자식) 방호장치 해제해도 작업이 가능한 상태 => 해제하면 작업이 불가능하도록
② 금형 조정 작업을 할 때, 안전블록을 사용하지 않음 => 사용함
③ 금형 조정 작업을 할 때, 발 스위치를 제거하지 않음. => 제거
4번
4. 화면 상의 위험점과 그 정의를 쓰시오. (5점)
[동영상]
면장갑을 착용 및 보안경을 미착용한 작업자가 선반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가 회전축에 샌드페이퍼(사포)를 감아 손으로 지지하고 있다.
작업자가 나무를 깍는 작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있는데, 작업복과 손이 감겨 들어간다.
기계 운동방향으로 함께 돌아 가는 것을 표현하기 위한 온몸으로 휘어감기는 혼신의 연기
①위험점
회전말림점
②정의
회전하는 축에 옷소매 등이 말려들어가는 것.
5번
5.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화면 상의 기계 기구 작업을 하는 때 작업시작 전, 사업주가 관리감독자로 하여금 점검하도록 해야 할 사항 2가지를 쓰시오. (4점)
[동영상]
교류아크용접기 접지 이후 용접
가. 작업 준비 및 작업 절차 수립 여부
나. 화기작업에 따른 인근 가연성물질에 대한 방호조치 및 소화기구 비치 여부
다. 용접불티 비산방지덮개 또는 용접방화포 등불꽃ㆍ 불티 등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여부
라. 인화성 액체의 증기 또는 인화성 가스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는 환기 조치 여부
마. 작업근로자에 대한 화재예방 및 피난교육 등비상조치 여부
6번
6.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화면상의 기계에 필요한 방호장치 3가지를 쓰시오. (6점)
[동영상]
건설용 리프트 탑승 후 도어 좌측 천정을 비추고 내부 방호울 등 점검
- 파이널 리미트 스위치(final limit switch)
- 속도조절기
- 출입문 인터 록(inter lock) = 출입문 연동장치
+
- 과부하 방지 장치
- 권과 방지 장치
- 비상 정지 장치
- 제동 장치
7번
7. 화면은 굉장히 뜨거운 스팀 증기가 흐르고 있는 가운데 고소배관의 플랜지를 점검하던 중 작업자에게 발생한 재해다. 위험요인을 3가지 쓰시오. (6점)
[동영상]
머리 높이 위의 부식된 배관 플랜지
턱끈이 헐렁하게 안전모만 착용한 작업자가 맨 손에 수공구를 들고 이동식 사다리 위에 올라가 양손으로 배관플랜지 볼트를 조이는 작업 중 떨어짐.
증기가 세진 않는다.
<뜨거운 배관 작업 관점>
① 작업 전 배관 내용물을 방출하지 않음.
② 보안경을 착용하지 않음.
③ 방열장갑을 착용하지 않음.
<고소작업 관점>
이동식 사다리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음.
8번
8. 화면 상의 작업 중 위험요인을 3가지만 쓰시오. (6점)
[동영상]
안전난간과 추락방호망이 설치되지 않은 (삼각형) 박공지붕 중간에서, 안전모와 안전화를 착용한 작업자들이 앉아 휴식 중.
작업자 뒤에 있던 삼각형 적재물이 굴러와 작업자의 등에 부딪혀 작업자가 앞으로 쓰러진다.
① 지붕의 가장자리에 안전난간이 없음.
② 추락방호망이 없음.
③ 작업자가 안전대를 착용하지 않음.
④ 중량물의 동요나 이동이 조절되지 않음.
⑤ 중량물이 구르는 방향인 경사면 아래에 작업자가 출입
9번
9. 화면 상의 작업 중 위험요소 2가지를 쓰시오. (4점)
[동영상]
장갑을 미착용한 작업자가 배전반을 열고 드라이버로 점검을 한다. 문 틈에 맨손에 끼워두고 있다.
메인차단기 전원이 ON 상태이다.
그런데, 지나가는 다른 작업자가 작업중인 배전반문을 닫고, 옆 배전반 문을 열면서 문 틈에 작업자 손이 낀다.
① 절연용 보호구 (내전압용 절연장갑) 미착용
② 잠금장치 및 꼬리표를 부착하지 않음.